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35살 대통령 뽑은 칠레, 기후 문제도 앞장

등록 2022-01-03 16:35 수정 2022-01-03 22:50
REUTERS

REUTERS

최근 35살 대통령을 배출한 칠레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주요 과제로 삼은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논의가 뜨겁다. 특히 수자원을 공공재로 규정할지, 산에서 흘러내려오는 전통적 의미의 ‘물’뿐 아니라 사막 아래에서 끌어올려 쓰는 염수까지 수자원으로 분류해 보호할지 주목된다. 현재 칠레 법은 염수를 수자원이 아닌 광물로 본다.

칠레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리튬을 많이 생산하는 나라다. 리튬은 최근 기후위기 대응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화석연료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 전기자동차와 스마트폰 등에 들어가는 리튬이온배터리를 떠올리면 된다. 리튬을 채굴하려면 많은 염수가 필요한데, 아타카마사막 등 리튬이 많이 나오는 칠레 일부 지역에선 기업들만 이득을 볼 뿐 정작 사막 인근 지역 주민들은 물 부족으로 고통받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앞서 칠레에선 2021년 7월 ‘마푸체’ 원주민 여성 엘리사 롱콘을 의장으로 한 제헌회의가 출범했다. 롱콘 의장 외에 155명의 제헌회의 의원 대부분이 소속 정당이 없는 무소속인데다 주부, 배우, 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직업군 출신으로 구성돼 불평등한 사회구조에 균열을 낼 수 있을지 기대가 모였다.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의 독재정권 시절인 1980년대 만들어진 낡은 헌법을 대신할 새 헌법을 만드는 논의가 곧 시작됐다.

전세계 리튬 생산량의 5분의 1을 담당하는 칠레 채굴 기업 에스큐엠(SQM) 등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1983년 피노체트의 사위인 훌리오 폰세가 최대주주가 되기 전까지 에스큐엠은 국영기업 형태로 운영돼왔다. 기업들은 사람이나 동물이 먹을 수 없는 염수는 수자원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정인선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코리아> 기자

관심 분야 기술, 인간, 민주주의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