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한겨레21

기사 공유 및 설정

왜 ‘건국전쟁’을 보는가, 그 답은 ‘자연화’

뉴라이트의 발흥 목격하고 해방 8년을 박사논문 주제로 삼은 후지이 다케시의 칼럼집 <무명의 말들>
등록 2024-03-15 12:31 수정 2024-03-19 08:05
영화 <건국전쟁> 영화사 제공

영화 <건국전쟁> 영화사 제공


때로 어떤 일들은 무언가의 징후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내겐 이승만 전 대통령을 다룬 영화 <건국전쟁>의 유별난 흥행이 그렇다. 비록 감독이 ‘좌파 영화’라 매도한 <파묘>의 기세에 묻힌 감이 있지만, 저예산 다큐멘터리 영화로는 이례적으로 100만 명 넘는 관객을 불러 모았다. 한 달 앞서 개봉한 <길위에 김대중>의 12만 관객을 아득히 뛰어넘는 수치다. 가히 ‘사건’이라 불러도 될 <건국전쟁>의 흥행을 두고 그간 이런저런 말들이 오갔다. 대부분은 사건의 의미를 애써 깎아내리거나, 영화의 틀린 ‘팩트’를 지적하는 이야기였다. ‘이승만이 얼마나 악랄하고 무책임한 독재자였는데 그를 찬양하는 영화를 100만 넘게 볼 수 있냐’며 놀라워하는, 또는 분노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건국전쟁>을 둘러싼 이야기는 분명 일말의, 혹은 적잖은 진실을 담고 있다. 그럼에도 이런 이야기에 아쉬움을 느끼는 건, 이른바 ‘왜?’가 빠져 있기 때문이다. <건국전쟁>은 단지 보수 기독교도와 노인들을 ‘동원해서’ 흥행한 영화인가? 이들이 이승만을 지지하는 이유는 그저 역사를 잘 모르기 때문인가? 다시 말해, ‘왜’ 하필 이승만인가? 역사학자 후지이 다케시의 칼럼집 <무명의 말들>은 그 실마리를 제공한다. 박사 과정을 끝마칠 무렵인 2005년 뉴라이트운동의 발흥을 목도했고, 그 영향으로 논문 역시 해방 8년 동안의 정치사로 쓴 후지이는 이들의 심리를 한 단어로 요약한다. 바로 ‘자연화’다.

<무명의 말들> 후지이 다케시 지음, 포도밭출판사 펴냄

<무명의 말들> 후지이 다케시 지음, 포도밭출판사 펴냄


이승만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격동의 해방 공간에서 그가 내린 선택을 어쩔 수 없는 것, 원래 그러했던 것으로 치부한다. 이승만이 남한 단독정부를 지지하고, 친일파를 등용했으며, 자국민을 빨갱이로 몰아 학살했다는 ‘팩트’를 아무리 강조해봤자, 이들에겐 그다지 치명적인 공격이 아니다. 이들은 이 사실을 모두 알고 있음에도, 혹은 모두 알고 있기에 이승만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마치 자연이 그러하듯, 이승만의 선택은 필연적이며 당연한 것으로 둔갑한다.

아이러니한, 혹은 안타까운 사실은 심지어 이들의 주장이 어느 정도 ‘타당하게’ 받아들여진다는 것이다. 이제는 좌우 모두 대한민국의 ‘성공’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그 원동력으로 자유민주주의를 꼽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2022년 이후의 ‘신냉전’ 시대에, 사람들은 너무나도 쉽게 자유민주주의를 선으로, 그 반대편을 악으로 치부하곤 한다.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에 이승만을 겹쳐 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는 사실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

요컨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물신화’와 역사에 대한 ‘자연화’는 이승만 신화를 떠받치는 두 축이다. 얼핏 상반돼 보이는 두 태도는 서로 맞물린다. 자유민주주의야말로 보편이요 진리라는 사실이 대한민국 역사로 증명됐고, 그렇기에 우리는 자유민주주의가 아닌 그 무언가를 상상조차 하지 말아야 한다는 식이다. 어쩌면 역사가의 임무란 <건국전쟁>이 얼마나 ‘틀려먹은’ 영화인지 비판하는 게 아니라, 이 견고한 고리를 끊어내고 그 안에 갇혀 있던 수많은 가능성을 찾아내는 일일 것이다. 고정된 ‘이름’을 떼어내고 역사를 무엇이든 될 수 있는 ‘무명’의 상태로 되돌리는 일, 후지이가 자신의 박사논문을 저본 삼은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를 통해 보여준 것이기도 하다.

유찬근 대학원생

*역사책 달리기: 달리기가 취미인 대학원생의 역사책 리뷰. 3주마다 연재.

한겨레는 타협하지 않겠습니다
진실을 응원해 주세요
맨위로